진수아
2024년 10월 29일
한국 문화 예속화 시도란 중국이 한국 문화를 중국 문화의 일부로 편입 또는 소속시키거나, 해외에서 ‘한국 문화’ 라는 개념을 내세우지 못하도록 정치적, 경제적으로 억압하려 하는 시도를 말한다.
한복
원인
2019년 바이두에서 한복 페이지를 삭제한 후 100% 중국 소수민족 조선족 전통의상이라고 기재하였다.
2010년대의 중국산 한복으로 인한 중국인 한복 기술자가 증가하였다. 소비자는 저가 한복을 소비하길 원하기 때문에 값어치가 싼 중국인이 만들기 시작했다.
반박
한복은 웃옷과 바지형 복식인 호복에서 시작했지만 한푸는 웃옷과 치마 형태를 기반으로 하였다. 따라서 한복은 처음부터 바지가 있었고 한푸는 남녀 모두 치마를 입은 형태였다. 그럼에도 비슷한 이유는 시대가 흐르면서 서로 영향을 끼쳐 수렴 진화 해왔기 떄문이다.
의견
중국의 이러한 한국 문화 예속화 시도는 한국과 다른 동아시아 국가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뿐만 아니라 중국이 자신의 나라로 억지 수용함으로써 중국 자국의 역사에도 모순이 생기기 때문에 부질없는 행동이라고 생각한다. 또한 계속해서 억지로 우기는 것은 전 세계에 중국의 이미지 손상에도 영향을 끼치기 떄문에 중국 입장에서 보았을 때도 이득이 되는 행동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김치
파오차이와 김치의 차이
파오차이는 담그다라는 의미를 가진 파오와 야채반찬을 의미하는 차이가 결합한 단어로 특정 지역의 요리이름이 아닌 채소를 절여서 만든 여러 반찬들의 통칭이다. 따라서 절인 야채반찬인데 반면 한국의 김치는 소금물에 절이고 발효시켜 보관성을 높인 채소를 여러 양념으로 맛을 내어 먹는 음식이다. 중국은 단순한 ‘절인 야채 반찬’인 반면 한국은 보관성을 위해 절이고 그 야채를 다시 양념하는게 특징인 점에서 명확한 차이가 있다.
중국의 왜곡 전략
만물 중국 기원설
대륙 문화에서 영향을 받거나 우연히 비슷하게 발전하거나 해 하나 이상의 공통점을 보유한 문화가 있으면 타국의 파생이나 유사 문화로 선을 극지 않고 자기네 문화 개념을 그 문화까지 확장시켜 버리고 자기네 고유 문화로 주장하는 것이다. 이로 김치를 파오차이와 공통점을 갖고 있어 파오차이의 일부라고 주장하는 것이다.
중국 소수 민족(조선족)의 식문화이므로 중국 식문화이다?
중국에 있는 조선족들도 문화적으로는 한국과 같으므로 김치를 담궈 먹는데, 이를 가지고 중국이 자기네 전통 문화라고 주장하는 것이다.
용어 혼란 전술
원래 중국이 한국의 김치를 의역하여 파오차이라고 불렀는데 2020년주터 중국이 파오차이를 중국의 음식이라고 주장하고 이것을 한국이 사천 파오차이를 자기 음식이라고 주장하려 한다는 식으로 혼란 전술을 펼치기 시작했다.
의견
전 세계에 중국의 파오차이와 한국의 김치의 차이를 명백하게 밝히고 알려야 한다고 생각한다. 이를 하기 위해서는 우리가 우리의 문화를 정확히 인식하고 문화 전파를 하고자 하는 노력과 실천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